본문 바로가기
STUDY/Javascript

[Javascript] 입력과 화살표 함수

by 23g 2024. 1. 24.

 

아이고 쓸 글이 넘쳐나는데 아직 두 번째 글 ㅎㅎ

 

1. 입력

자바스크립트에서는 사용자로부터 입력을 받는 방법이 주로 두 가지가 있습니다. 

 

prompt
: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 하는 경우에 사용
readline
: Node.js 환경이나 일부 런타임 환경에서 사용

 

[ 예제 코드 ]

1. prompt 함수는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표시하고

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데 사용됩니다.

javascript
let userInput = prompt("Please enter something:");
console.log("User entered: " + userInput);


위 코드에서 `prompt` 함수는 사용자에게 "Please enter something:"라는 메시지를 표시하고, 

사용자가 입력한 값을 변수 `userInput`에 저장합니다.

2. readline 모듈은 Node.js 환경에서 사용자로부터 터미널을 통해 입력을 받을 때 사용됩니다.

javascript
const readline = require('readline');

const rl = readline.createInterface({
  input: process.stdin,
  output: process.stdout
});

rl.question('Please enter something: ', (userInput) => {
  console.log("User entered: " + userInput);
  rl.close();
});


위 코드에서 `readline` 모듈을 사용하여 사용자에게 "Please enter something:"라는 메시지를 표시하고, 

입력을 받은 후에 콜백 함수가 실행됩니다. 이후에 `rl.close()`를 호출하여 입력을 마무리합니다.

이 방법들을 적절히 사용하면 사용자로부터 입력을 받아 프로그램에 활용할 수 있습니다. 

다만, `prompt` 함수는 웹 브라우저에서만 사용 가능하며, 

`readline` 모듈은 주로 Node.js 환경에서 사용됩니다.

 

보통 로컬 개발 환경이라면 prompt를

프로그래머스 등과 같은 개발 환경에서는 readline이 사용되겠네여

 

2. 화살표 함수

화살표 함수(=>)는 함수 표현식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는 문법입니다.

// 기존 함수 표현식
function add(a, b) {
  return a + b;
}

// 화살표 함수
const addArrow = (a, b) => a + b;

화살표 함수의 특징:

  1. 간결한 문법: 화살표 함수는 함수 표현식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.
    특히 단일 표현식을 반환하는 경우 더욱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
  2. this 바인딩: 일반 함수 표현식에서의 this와는 달리 화살표 함수는 자신의 this를 가지지 않습니다.
    대신, 화살표 함수가 정의된 시점에서의 this를 가리킵니다.
    이는 주로 콜백 함수 내에서 this를 유지하기 위해 활용됩니다.
  3. 생성자 함수로 사용 불가: 화살표 함수는 생성자 함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.
    new 키워드와 함께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.

화살표 함수를 잘 쓰면 코드 가독성이 훨씬 좋아지고 여러 장점이 많은데

어쩐지 자꾸 기존의 함수 표현식을 쓰게 되는,,ㅎㅎㅋ

 

코드가 길어질 수록 화살표 함수를 잘 이용해서 간결성을 지키자!!!